경계선 성격 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2건 조회 10,854회 작성일 17-09-01 15:29본문
경계선 성격 이론
여기에서 논하고자 하는 경계선 성격은 어느 특정 이론에 한하거나 아니면 그 이론에 초점을 맞추지 않을 것이다. 가능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이론들에 근거해서 그 이론의 전문가들이 연구해 놓은 경계선 병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경계선 병리가 가지고 있는 특정 결함에 대한 개념과 그 개념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경계선 성격이 내포하고 있는 기능적 손상에 대한 영역별 연구에서 상이하게 또는 유사하게 보고된 결과를 숙고해서 가능한 이들 이론을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진 특정 연구들의 일반적인 속성은 경계선 병리가 가지고 있는 한 두 가지의 손상을 중심으로 해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듯한 경향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한다. 경계선 성격을 논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구체적인 영역들은 사실상 한 두 가지의 손상보다는 다음에 열거한 손상들을 내포해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능적 결합, 방어적 손상, 자아기능과 통합의 이 밖의 다른 영역 상의 손상이나 결함, 발달상의 결함, 자기도취적 결함, 대상관계들에서의 손상과 결함(적개심, 파괴력 등), 허위자기의 조직과 병리(허위자기가 발달되어 있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체성 용해(어머니와 내가 경계선이 있다)들이다.
경계선 병리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의 사항 중 어느 것 한 가지라도 배제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동시에, 대부분의 이론들이 위에서 열거한 사항들을 세부적으로 논하거나 아니면 같은 입장을 취하는 이론이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요한 발달상의 결함에 원인한 경계선 병리학에 대한 견해가 두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이론에 의한 별개의 설명들이 거의 유사한 언어들로 발달상의 결함을 공식화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얼핏 보기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이론에 의한 발달과정상에 나타나는 손상을 유전적이며,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결정인자에 의해 조정된 것으로 본다면, 다른 이론에 의한 설명에서는 똑같은 심리적 손상을 놓고 유아기에 특정한 그 사람을 돌보아 준 중요한 사람과의 대상관계의 질을 계획적으로 조절한 결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한 증상을 놓고 이렇게 엄청난 견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이론적 배경을 가진 두 개의 이론이 각기 다른 가설을 수용한 결과다. 이렇게 다른 견해 차이를 보이는 이론들은 유전과 자연 양육의 이분법적이고 상반된 지남에 의한 편견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하나만 알고 둘은 외면하는 아집 또는 편의상의 방법일 수도 있다. 어떻든 여기서 시도하려고 하는 것은 경계선 병리학의 설명을 포함하는 기본적인 이론적 가정들을 묘사하고, “일차적 결함”이라 불리는 것과 여러 연구에서 경계선 성격에 기여하는 구심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 대한가족상담연구소 부부가족심리상담사 교재 중에서